Mac Mini 2009

Mac mini 2009 upgrade

swap을 사용하지 못하는 kubenertes를 사용해서 ghost pod/container를 구동하니 메모리가 부족하다고 종료되어 버린다. 확인해 보니 서버로 사용하고 있는 mac mini 2009에 장착된 RAM이 4G였다. 흠… 인터넷에서 mac mini 2009의 HW 사양을 찾아 보니 DDR3 1066 MHz라고. 그리고 다른 블로그를 찾아 보니 그 보다 나중에 나온 더 높은 클럭의 RAM을 실장해도 동작하는 데는 문제가 없단다. 다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DDR3 제품이라 구하는 게 문제일 듯. 하지만 혹시나 하고 예전에 모아둔 메모리 더미를 뒤져보니 딱 맞는 메모리가 있었다.

Install Ubuntu 18.04.1 in Mac mini 2009

최고령 Mac은 아니고 세 번째 고령 가장 오래된 Mac은 2005년에 구입한 Powerbook. PowerPc processor를 사용한 마지막 Apple의 laptop. 그 다음 오래된 것은 iMac 2007. 하지만 이 두 녀석들은 현재 꺼진 상태로 방치되고 있어, 현역은 Mac mini 2009라는. 당시에 리퍼를 구입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10년이 지난 2019년에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게 너무 신기하다. 한글 글꼴 Firefox 등에서 한글 글꼴이 없어 한글 페이지가 깨져서 나눔고딕을 설치 이것 저것 찾아보다 https://blog.inidog.com/p/20170131169 참고해서 한번에 해결했다.마지막 명령어 fc-cache -r 을 수행하는 도중 firefox의 한글 페이지에서 깨진 한글 글꼴이 예쁜 나눔고딕으로 변하는 모습은 감동(?

mac mini 에 windows 10 설치

mac mini 2009에 windows 10을 무사히 설치. 몇 가지 삽질을 적어보면 mac mini는 windows 7까지만 지원하고, optic drive를 이용한 설치만 지원하기 때문에 그냥(?) 해서는 windows 10을 설치할 수 없음. 이를 해결하려면 Applications/Utilities에 있는 Boot camp assistant 앱을 복사해서 Contents 디렉토리에 있는 Info.plist 파일 내용을 수정해야 함. 대충 보면 Win7OnlyModels 하는 부분이랑 USBBootSupportedModels 부분을 아예 삭제하면 된다. Boot camp를 실행시켜 windows partition을 나누려고 했는데 이상하게 3조각으로 나뉘어지면서 윈도10용 설치 파티션을 만들 수 없다고 해서 결국 엘케피탄 설치 파일을 이용해서 다시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