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리모트
p15
사람들에게 제대로 집중해서 일을 하고자 할 때 어디로 갈거냐고 물었을 때 “사무실”이라고 답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혹은 “다른 직원들이 출근하기 전 아침 일찍” 또는 “다른 직원들이 퇴근하고 난 후의 사무실” 또는 “주말에 아무도 없는 사무실”
p18
출퇴근 시간 1.5시간/하루 * 5일 * 4 * 11 month = 330 시간.400시간은 베이스캠프를 개발자들이 프로그래밍하는데 걸린 시간
p22
엄청난 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과거의 유산을 내려놓고 미래로 가는 배에 올라 탈 굳은 의지를 갖추어야만 한다.
p24
동시적 협업에서 비동기 협업 체제로 바뀌는 것 원격근무가 아니더라도 시간대가 다른 부서와 협업하는 것만 해도 비동기 협업의 중요성이 높아진다. 동시성 협업은 극히 제한되고, 공간과 언어의 제약으로 인해 효율이 극히 낮아진다.
p48
출근하지만, 막상 사무실에서는 마치 모두가 원격근무하는 것처럼 일을 한다. 이메일, 메시징앱으로 일하면서 혼자 일하는 시간을 달라고 한다. 출근길에 생각해 보자. 과연 오늘 사무실로 출근하는 것이 그럴 만한 가치가 있었나? 회사 업무를 살펴보라. 어떤 업무가 외부에서 일어나고 있는지, 또는 반대로 반드시 대면해서 해야 하는 업무가 어떤 것이 있는 지. 아마 생각보다 많은 업무가 원격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에 놀라게 될 것이다.
p53
신뢰에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채용 당시 의사결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팀원 중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하거나, 스스로 일정관리와 업무량을 조절할 수 없는 사람과는 계속 일할 수 없다. 스스로 일정을 관리하고 조직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전문가와 일하기를 원한다. 관리자는 직원 옆에 진종일 붙어서 보모 역할을 하는 사람이 아니다.
p55
리차드 브랜슨경은 원격근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다른 사람들과 성공적으로 협업하려면 서로 신뢰가 있어야 한다. 관리감독이 없는 상황에서도 동료가 제 몫을 해낼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하다”
p66
생산성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는 대기업을 예로 들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p72
최선의 문화는 사람들의 행동에서 나타나는 것이지, 사훈에 적는 문구가 아니다.신입사원들은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회사가 어떤 것에 신경을 쓰는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 지 등을 지켜보면서 문화를 익힌다. 원격근무를 하게 되면 기업문화란 사람 간의 사회적 교류를 통해서 만들어진다는 허상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기업문화란 업무를 정의하고 실행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p74
Mail, Chat, call 등 긴급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연락할 것
p95
모든 정보를 공개하라.원격근무인 경우 발생하는 시차로 인한 정보 공유 문제를 해결하려면(4시간 시차가 있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얻기 위해 4시간을 기다린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일) 가급적 모든 정보를 공개된 공간에 모아야 한다.
p98
다양한 챗 채널을 사용.업무 뿐만 아니라 잡담용 채널 등도 사용하여 유대감을 만들 것. 이런 낭비가 필요하다
p102
팀장보다 팀원을 속이기가 더 어렵다.다른 개발자들에게 정보가 모두 공개되면 거짓은 금방 들통 나기 마련이다.모두가 업무진행 상황을 공유할 때 좋은 결과가 나온다.
p104
“오늘 무슨 일을 했나요?라고 묻지 말고 ”오늘 한 일을 보여주세요”라고 묻자.업무결과물과 관계없는 나머지는 무시하면 된다.
p120
매일 업무를 마치면서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자. “오늘은 업무 성과가 좋았나?”
p158
베이스캠프처럼 일감을 자동으로 관리하고 보고하는 시스템은 누가 무슨 일을 하는 지, 얼마나 걸리는 지 투명하게 보여준다.이런 시스템은 전통적인 사무실 업무환경에서 소외받던 조용하게 일 잘 하는 사람들을 돋보이게 한다. 원격근무 환경에서는 자신이 한 업무에 대해 자랑질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미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고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 일은 안하고 허풍만 떨다 보면 동료들 모두가 금방 그 사실을 알아챌 것이다.
p161
글쓰기는 원격근무의 시작이다. 원격근무를 잘하려면 쓰기를 잘해야 한다.On Writing WellThe Elements of StyleRevising Prose
p165
미니프로젝트는 의미 있는 일이라야 한다. 현재 회사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여야 한다.
p192
직원들에게 스스로 의사결정 권한을 주어라. 회사에 층층히 쌓인 관리자의 승인이 있어야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면 회사에는 잘못된 사람들만 있는 것이다.사람들은 의사결정 내리기를 두려워한다. 왜냐면 그들은 처벌과 원망을 받을까 두렵기 때문이다. 이런 문화는 원격근무와 어울리지 않는다.직원들이 일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는 정확히 반대로 하고 있다.조직이 군과 관련되어 있거나, 일급비밀정보를 다루는 일이 아니라면 정보 접근을 제한하는 장벽들은 직원들이 업무를 하는데 방해가 될 뿐이다.
p195
장기적으로 좋은 직원은 지속 가능한 업무를 하는 사람이다.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게 딱 적당히 일하는 것이 좋다. 우리 경험으로는 일주일에 40시간 정도가 평균적으로 적절했다.
remote에 대해 다른 사람이 쓴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