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어떻게 읽을 것인가 - 2
Page content
만독
- 책을 느리게(집중해서) 읽기
- 아이에게 책 읽어주기
- 부모가 읽어야 아이도 읽는다
- 1단계. 책 선정
- 초등학생이면 어휘가 풍부한 국내 소설
- 오래 살아남은 책. 고전 문학
- 2단계. 반복해서 읽기
- 3단계. 파생독서 하기
- 저자의 다른 책
- 저자가 참고한 책
- 비슷한 주제의 책
- 4단계. 챕터별 요약하기
- 5단계. 챕터별로 생각 적어보기
- 책을 읽으면 추가 자료와, 자신의 생각을 곁들여 정리
- 6단계. 장문 쓰기
다독
- 고정형/성장형 생각
- 특히 힘든 시기에 영향을 줌
- 갑자기 어려워지는 중학교 시절
- 두뇌도 근육과 같다.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당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든 생각하는 대로 될 것이다.
- 나도 책을 많이 읽을 수 있다!
남독
- 다양하게 읽기
- 수용적/비판적/창의적 사고
- 수렴적 vs. 발산성 지능
- 수렴적 - 성실
- 발산성 - 창의. 변칙
- 위기때는 발산성 지능이 필요
관독
- ‘Seeing is believing”?
- 시각은 뇌를 속인다
- ‘본 것’이 아니라 ‘봤다고 생각’한 것
- 저자의 관점을 이해하기
- 특정 관점을 가지고 책을 보기
재독
- 좋은 부모
- 안정적인 기지 마련
- 기지를 거점삼아 세상을 마음껏 탐구하도록 격려
필독
- 쓰면서 읽기
- 메모 남기기
- 다시 읽을 때 나의 관점을 기억
- 망각
- 10분 호 망각 시작, 한 시간 뒤 50%, 하루 뒤 70%, 한달 뒤 80% 망각
- 글은 제기하고자 하는 주제의 근거를 제시하고 타당성 입증
- 좋은 자료가 성패를 가른다
- 짧게 써야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