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부실한 공유문화를 지배하는 개발자의 심리
정말 하나같이 핵심적인 내용인데 정작 이걸 알아야 하는 사람은 이런 데 관심이 없겠지.
전반적으로 공유문화가 부실하게 된 것은 현재 개발자들의 책임은 아니다. 원래 문화라는게 우리의 선조, 선배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따르면서 아주 약간씩 바뀌는 것이다. 개발문화도 그렇다. 지금까지 선배들이 그런 환경에서 그렇게 일해 왔기 때문에 그런 문화가 형성되었고 우리도 거기에 적응해서 일하고 있는 것이다.
문화가 바뀌기 어려운 이유는 나 혼자 노력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은 공유를 위해서 노력하지 않고 나 혼자 애를 쓰면 나만 두배로 손해를 본다. 이는 ‘죄수 딜레마’와 비슷하다.
…
둘째, 과도한 프로세스는 오히려 독약이다.
대기업에서 많이 벌어지는 일인데, 현재 역량이나 문화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과도한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도입해서 강요하곤 한다. 이런 경우 겉으로는 규칙을 지키고 비싼 시스템을 착실히 쓰는 것 같지만 속을 보면 형식적으로 따르고 흉내만 내서 효율은 오히려 더 떨어진다. 이런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스스로의 역량이나 문화 수준을 과대평가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제대로 된 CTO의 부재도 한몫 한다. 실전 경험이 부족한 SW 프로세스팀은 밑져야 본전 식으로 프로세스를 복잡하게 만들고 많은 문서를 요구하곤 한다. SW 프로세스팀도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는 많은 고충이 있다. 많은 문서 중에서 프로젝트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문서는 한두개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회사에서는 나머지를 쉽게 포기하지 못한다. 이러다 보니 개발자들은 문서 따로 개발 따로 진행을 하고 문서는 개발에 별 도움도 안되고 공유의 목적으로도 의미가 없게 된다. 이런 식으로 문제가 발생하면 프로세스를 더 복잡하게 만드는 악순환이 진행된다.
셋째, 개발자 보고 알아서 잘 해보라고 하면 안된다.
풀뿌리식으로 개선이 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시스템과 프로세스도 필요하고 경영진의 의지와 후원이 절대적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공유문화를 이끌 리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CTO급의 인물이 있어서 흐지부지 되기 쉬운 공유 문화 개혁에 꾸준한 추진력을 실어줄 수 있어야 한다. 역량 수준에 따라서 여러가지 시스템도 필요하다.
넷째, 나중에 몰아서 공유하면 실패한다.
일기를 몰아서 쓰듯이 공유도 몰아서 하면 실패한다. 공유를 위해서 문서를 만들고 시스템에 기록을 하는 것이 목적이 되면 안된다. 이것들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이고 이렇게 개발을 해야 가장 빨리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문서를 만들고 공유를 하는 것이다.
공유를 위해서 숙제를 하듯이 정리를 해서 시스템에 지식을 올리고 공유하는 것보다 매 순간 필요한 것들을 즉시 등록하는 것이 좋다. 공유할 것, 물어 볼 것, 의논해야 할 것들을 일단 적당한 시스템에 올려 놓고 진행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과정이 공유가 된다. 즉, 공유는 개발의 과정이고 일부이지 산출물, 부산물들이 아니다.
공유를 위해서 산출물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순간 공유는 실패하고 산출물도 제대로 만들어 질리가 만무하다. 이렇게 만들어진 문서는 나중에 유지보수 시에도 활용도가 뚝 떨어진다. 공유목적으로도 실패한 것이다. 개발과정이 자연스러운 공유의 과정이 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모든 사람이 다 너무 바쁘면 안된다.
모든 개발자가 호떡집에 불난 것 같이 바쁜 회사가 많다. 가끔은 신입 개발자는 한가하고 고참들이 더 바쁜 경우도 있다. 이런 회사는 대부분 공유에 실패한다. 불 끄느라고 정신이 없어서 나머지는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시니어 엔지니어가 될수록 시야도 넓어지고 생각도 많이 하고 여기저기 관여도 많이 해야 하기 때문에 정신없이 바쁘면 안된다.
여섯째, 보안보다 공유가 우선이다.
소프트웨어는 설계도면이 핵심이 아니다. 구성원들의 지식 공동체가 핵심이며 문서, 시스템, 경험, 지식의 복합체가 소프트웨어 회사 기술의 실체이다. 대부분의 SW회사는 HW분야에서 설계도면 빼돌리 듯 기술을 빼돌릴 수가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빈약한 공유문화 속에서 소수의 개발자가 거의 모든 정보를 독점하기 때문에 종종 기술을 빼돌리는 일이 벌어진다. 이런 상황에서는 보안을 아무리 강조해도 기술이 새나가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드물게 보안이 더 중요한 SW회사도 있기는 하지만 극소수에 불과하다. 보안에 대한 과도한 우려 때문에 공유를 너무 불편하게 하는 회사가 의외로 많다. 보안이 별 이슈도 아닌 회사도 공유에 거부감이 있는 직원의 주장에 넘어가서 공유를 포기한 회사도 많다. 훌륭한 오픈소스가 판치는 마당에 소프트웨어 회사에서는 숨길 것이 그렇게 많지 않다. 특수한 분야의 몇몇 회사를 제외하고는 모든 직원에게 모든 정보를 오픈해도 별 문제가 안된다. 보안을 과도하게 강조하여 공유에 제약을 가하기 시작하면 공유는 반쪽짜리가 되어서 효율은 엄청나게 떨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