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if SCTP is supported by creating SCTP service https://blog.aweimeow.tw/enable-sctp-in-kubernetes-cluster/
cychong@mini1:~/work/sctp$ cat service.yaml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sctp spec: selector: app: sctp ports: - protocol: SCTP port: 9999 targetPort: 30001 cychong@mini1:~/work/sctp$ kubectl create -f service.yaml The Service "sctp" is invalid: spec.ports[0].protocol: Unsupported value: "SCTP": supported values: "TCP", "UDP" Enable SCTP in running kubernetes cluster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5909512/how-to-configure-already-running-cluster-in-kubernetes
Basically you must pass this flag to kube-apiserver. How you can do that depends on how you set up the cluster.
하나의 Helm chart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pod를 설치 하는 nested chart 인 경우 각각의 pod에 대한 CPU requirement는 각 subchart의 values.yaml에 resources 항목에 기술하면 된다.
아래는 ONAP중 closed loop control에서 Data collection을 담당하는 DCAE의 SW들을 kubernets에 배포하기 위해 만들어진 차트들이다. 다음과 같이 8개의 chart들로 구성되어 있고,
$ tree -d oom/kubernetes/dcaegen2/charts/ -L 1 oom/kubernetes/dcaegen2/charts/ ├── dcae-bootstrap ├── dcae-cloudify-manager ├── dcae-config-binding-service ├── dcae-deployment-handler ├── dcae-healthcheck ├── dcae-policy-handler ├── dcae-redis └── dcae-servicechange-handler 8 directories 각각의 subchart는 각자의 values.
multipass? Multipass is a lightweight VM manager for Linux, Windows and macOS. It’s designed for developers who want a fresh Ubuntu environment with a single command. It uses KVM on Linux, Hyper-V on Windows and HyperKit on macOS to run the VM with minimal overhead. It can also use VirtualBox on Windows and macOS. Multipass will fetch images for you and keep them up to date.
Since it supports metadata for cloud-init, you can simulate a small cloud deployment on your laptop or workstation.
ghost를 설치한 지 몇 년이 지났는데 그 동안 여러 가지 방법으로 Ghost 운용 환경을 구축해왔다.
Host 환경, Docker, Ansible, kubernetes 에 이어 이번은 5번째 시즌인데 Helm Chart 를 시용해서 설치해 보는 것이다. 처음 시작은 helm repository에 있는 공식(?) 공개된 helm chart를 이용하여 values.yaml 파일만 내 환경에 맞게 변경해서 사용하려던 것이었는데 아쉽게 아직은 그렇게 하기 힘든 것으로 보여 직접 helm chart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이 문서는 그 과정을 기술한 것으로 향후 공식 helm chart를 활용할 수 있는 때가 오면 시즌 6에 해당하는 글을 또 쓸 듯 하다.
간혹 아니 자주 블루투스로 연결한 마우스가 너무 반응이 느리다. 맥이 이상한 가 싶어 트랙패드를 만져보면 전혀 반응 속도에 이상이 없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Wifi 2.5GHz와 블루투스가 간섭을 일으켜서 그런다고.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2.5GHz인데, 설명서에 있는 대로 2.5GHz에 대해 Radio Enable 를 꺼도 여전히 AP list에 나온다. 그러다 우연히 본 옵션이 “Bluetooth coexistence”. 5GHz에 대해서는 이 옵션이 없는 걸 보니 뭔가 영향을 줄 것 같다. 일단 옵션을 Enable로 변경.
Let’s see what happens.
Getting started with Calico on Kubernetes Calico를 사용하는 경우 kubelet의 실행 옵션 중 --network-plugin=cni와 같이 변경된다.
kube-controller-manager의 실행 옵션 중 --allocate-node-cidrs=false 로 역시 변경된다. 이는 CNI(여기서는 Calico의 IPAM)에서 IP 주소를 할당하기 때문
Pod 내 route table에서는 host의 link local address를 default route로 사용한다.
Pod가 갖는 eth0 interface는 root(혹은 default) namespace에 존재하는 ‘cali’로 시작하는 interface와 veh pair 관계를 갖는다.
veth pairs는 아래 설명과 같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interface를 의미하는데 한쪽으로 들어가면 연결된 다른 인터페이스로 나온다.
IEEE 1588: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 Boundary Clock and Transparent Clock?
IEEE 1588 2002 Original standard Ordinary Clock : GrandMaster of Slave. Always a single port Boundary Clock clock node that has two or more ports (router or switch) One port as a slave clock, The remaining ports are master clock for other nodes. BC recovers the time of day within the slave clock and relays it as a reference to the mater clock function 1PPS Pulse-Per-Second https://www.
Install microk8s MicroK8s - Fast, Light, Upstream Developer Kubernetes
설치는 위 링크에 있는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대로 snap 명령어 하나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cychong@mini1:~$ sudo snap install microk8s --classic 2019-05-18T09:43:53+09:00 INFO Waiting for restart... microk8s v1.14.1 from Canonical✓ installed 설치된 microk8s의 정보를 확인하려면 snap info microk8s
cychong@mini1:~$ sudo snap info microk8s name: microk8s summary: Kubernetes for workstations and appliances publisher: Canonical✓ contact: <https://github.com/ubuntu/microk8s> license: unset description: | MicroK8s is a small, fast, secure, single node Kubernetes that installs on just about any Linux box.
ghost blog를 구성해서 사용한 게 벌써 2014년 이다. 당시 0.x 버전 이었던 초반에는 얼마 못 가고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한참을 1.0버전을 발표하지 않더니 벌써 2.x 버전이다.
그동안 내가 ghost 블로그를 운용하는 방식도 몇 번의 변화를 가졌다.
시즌 1 - brew & tar-ball 처음에는 매뉴얼 대로 직접 Node.js와 ghost 소스를 이용해서 직접 OS X에 설치해서 운용했다.
시즌 2 - Docker 그러다 Node.js 버전이 꼬이는 것도 그렇고, docker를 쓰면 ghost 버전이 새로 나왔을 때 편할 듯 해서 docker를 쓰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Kubernetes Networks in google docs
이거 보면 IPv6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CNI는 Calico, Cillium, Contiv, Tungsten Fabric 정도로 좁혀지네